강일연세이비인후과
목클리닉
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roat diseases
목질환의 종류와 특징
목 질환, 단순한 통증 그 이상입니다.
목은 음성(목소리), 호흡, 삼킴 등 생명 유지와 의사소통에 필수적인 기관입니다. 편도염, 인후염, 성대결절, 역류성 후두염, 후두염 등 목의 통증, 쉰 목소리, 이물감, 기침이 반복된다면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.
편도염
편도염은 목 안에 위치한 편도에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감염되어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입니다. 급성으로 발생해 고열과 심한 인후통을 유발하기도 하며, 반복되면 만성 편도염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.
✔︎ 주요증상
심한 인후통, 침 삼킬 때 통증
고열, 오한, 전신 피로감
편도 부종 및 목소리 변화
입 냄새, 목 이물감
반복적인 목감기 증상
✔︎ 진단방법
- 이비인후과 전문의 진찰
- 내시경 검사 및 인후두 확인
- 필요 시 혈액검사, 세균 배양검사
편도결석
편도결석은 편도의 움푹 들어간 틈(편도소)에 음식물 찌꺼기, 세균, 점액 등이 쌓여 굳어져 형성되는 작은 돌입니다. 작은 크기라도 심한 입 냄새, 목 이물감, 잦은 인후 불편감을 유발할 수 있으며,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전문적인 진료가 필요합니다.
✔︎ 주요증상
- 만성적인 입 냄새(구취)
- 목에 이물감, 간헐적인 통증
- 잦은 편도염 발생
- 기침 시 작은 하얀 알갱이 배출
✔︎ 진단 및 치료
내시경 진단
필요 시 결석 제거 및 편도 수술 고려
후두염
후두염은 목소리를 내는 성대와 그 주변 후두에 염증이 생긴 질환입니다. 주로 감기, 과도한 음성 사용, 세균·바이러스 감염 등으로 발생하며, 목소리 변화와 통증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.
✔︎ 주요증상
- 목소리 변화(쉰 목소리, 음성 소실)
- 인후통, 기침, 발열
- 심한 경우 호흡곤란
✔︎ 진단 및 치료
- 진찰 및 후두 내시경 검사
- 약물치료(소염제, 항생제, 음성 휴식)
성대결절
성대결절은 성대에 반복적인 자극이 가해지면서 굳은살처럼 양쪽 성대에 대칭으로 생기는 작은 혹입니다. 주로 목소리를 많이 사용하는 직업군에서 흔히 발생합니다.
✔︎ 주요증상
- 쉰 목소리:목소리가 거칠고 탁하게 변함
- 발성 어려움:목소리 힘이 빠지고, 고음 발성 힘듦
- 목의 피로감:오래 말하면 목이 뻐근하고 쉽게 피로
- 목소리 변동:아침에는 괜찮다가 오후·저녁에 심해짐
✔︎ 원인
- 반복적이고 과도한 음성 사용
- 잘못된 발성 습관(목에 힘을 주고 말하기)
- 충분하지 못한 수분 섭취
- 상기도 염증(감기, 후두염 등)
- 흡연과 음주
✔︎ 진단방법
후두내시경 검사: 양쪽 성대에 생긴 작은 결절 관찰
음성검사: 목소리 질과 발성 기능 평가
✔︎ 치료방법
|
음성치료 |
언어치료사가 발성법 교정, 올바른 발성 훈련 |
|
약물치료 |
성대의 부종이나 염증조절 |
|
수술적 치료 |
심한 경우, 음성치료로 호전되지 않으면 미세수술 고려 |
|
생활습관관리 |
물 자주 마시기, 흡연·음주 피하기, 무리한 발성 줄이기 |
갑상선질환
갑상선은 목 앞쪽에 위치한 나비 모양의 장기로, 체내 에너지 대사와 호르몬 조절을 담당합니다. 갑상선에 문제가 생기면 전신에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✔︎ 주요 갑상선질환
갑상선 기능항진증 | 갑상선 호르몬이 과다하게 분비되는 질환 | 체중 감소, 손 떨림, 심장 두근거림, 불안감, 발한 |
갑상선 기능저하증 |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하게 분비되는 질환 | 피로, 체중 증가, 추위에 민감, 변비, 피부 건조 |
갑상선 결절(혹) | 갑상선에 혹이나 덩어리가 생김 | 목의 혹 만져짐, 목 불편감, 압박감 |
갑상선암 | 갑상선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 | 목의 혹, 목소리 변화, 삼킴 곤란, 림프절 종대 |
✔︎ 진단방법
- 혈액검사: 갑상선 호르몬 수치 확인
- 초음파검사: 갑상선 결절·종양 여부 확인
- 세침흡인검사: 결절이 악성인지 여부 확인
- CT/MRI: 필요 시 주변 조직 침범 확인
✔︎ 치료방법
약물치료 | 호르몬 조절제, 항갑상선제, 갑상선호르몬제 |
방사성요오드 치료 | 기능항진증 및 일부 갑상선암 치료 |
수술적 치료 | 암이나 큰 결절의 경우 수술로 제거 |
정기검진 | 작은 결절은 추적관찰을 통해 관리 |